본문 바로가기

문법

(3)
파이썬 문법 간단하게 훑고 가기(if / indent / in / input / and or not) #If(조건문) if 1 == 2 : print('hello') elif 1 < 2 : print('hi') else : print('oh') if / elif(else if) / else #indent 파이썬에서 들어쓰기 할 때는 같은 방식으로 해줘야함 if 1 == 2 : print('hello') print('hi') 이런 식으로 2번째 줄에서는 Tab을 그 아래 줄에는 Space를 하면 오류가 난다. #in if 'hello' in 'hello world' : print('hello') 'hello world' 라는 string에 'hello'가 들어 있냐는 뜻 #input name = input('What is your name?') print(name) input을 통해서 입력 받을 수 있다...
파이썬 문법 간단하게 훑고 가기(포맷팅) formatting print('I love my {}. She is {}.'.format('son',12)) 위와 같이 문자열에서 빈칸을 뚫듯이 {} 괄호를 해주고 마지막에 .format()으로 괄호에 들어갈 것들을 넣어 준다. print('I love my {name}. She is {age:d}.'.format(name = 'James',age = 30)) 이를 활용하여 괄호안에 '변수'를 지정해주면 중복해서 빈칸을 채울 필요 없이 한번에 표현 가능! 또한 가독성도 증가! age옆에 d는 decimal의 약자이고 decimal은 10진수를 뜻한다. 따라서 age라는 변수의 자리에는 10진수의 숫자만 오도록 하는 방법이다.
파이썬 문법 간단하게 훑고 가기(주석, 문자열) #주석처리 - 기본적으로 #이 주석처리에 쓰인다. #문자열 따옴표 - 파이썬에서는 ' 와 " 구별이 없다고 볼 수 있다. - 굳이 두개를 사용 가능하게 한 이유는 아래처럼 따옴표 사이에 따옴표를 사용 가능하게 하려고 하였다. print("안녕'w'orld") => 위와 같은 상황에서 아래처럼 \(역슬래쉬)를 붙여주면 문자로 인식하게 되어 위와 아래는 같은 결과를 출력하게 된다. print("안녕\'w\'orld") 개행(new line) - \n Doc String - 파이썬에 있는 특별한 기능으로 여러줄을 개행 없이 문서처럼 출력가능하다. - 긴 글을 쓸 때 유용! print('''안녕\'w\'orld 가나다라마바사 ''') 문자열 인덱스 a = "Hello" a[-1] 라는 문자열이 있다고 할 때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