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5)
CLI 명령어들 pwd : present working directory - 현재 디렉토리가 무엇인지 보여줌 / : root directory - 루트 디렉토리를 나타냄 ~ : home directory - 홈 디렉토리를 나타냄 --help - 간단한 매뉴얼 man command - command에 관한 매뉴얼 ls -l - ls가 원래 list라는 뜻이고 ls -l 하면 long format으로 현재 디렉토리 내의 파일들 출력 ls -a - all files를 출력 ls -al - a와 l 결합 mkdir - make directory / 디렉토리 생성 rm - remove / rm -r 하면 디렉토리 제거 mv - move(rename) ./ - 현재 디렉토리 ../ - 부모 디렉토리 cd : change direc..
POSIX Cli POSIX Cli는 Cli의 표준이라고 볼 수 있다. Cli는 Command Line Interface로 GUI의 반대대는 개념이라고 볼 수 있으며 Cli를 사용하게 되면 명령어로 컴퓨터를 제어 가능하다 ex) mkdir / cd / ls ... 1. 이렇게 되었을 때 어떻게 보면 과정이 좀 더 간단해 질 수도 있다. 2. 또한 여러개의 과정을 한번에 처리도 가능하다.
Git 이란? 프로그래밍에 관심이 많다면 Git이나 Github를 많이 들어보았을 것이다. 하지만 Github가 데일밴드나 호치케스처럼 Git을 대표하는 대명사로 여겨지면서 용어의 사용이 중복되고 많이 헤깔리는 경우가 있기에 용어부터 정리해보자. Git과 Github Git이라는 버전 관리 시스템이 있고 Git 웹호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Github이다. 그렇기에 Github 없이도 충분히 Git을 사용할 수 있다.
HTML 태그 <a> 는 HTML 태그의 제왕이다. 매우 유용하다. 이는 링크를 연결해주는 기능을 한다. a는 anchor의 첫번째 글자를 딴 것인데 우리말로는 닻이다. 링크를 닻을 내리는 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하여 지었다고 한다. anchor 이렇게 해당 태그 사이에 글을 입력해준다. 이런식으로 링크를 넣어 줄 수 있으며 target = "_blank" 를 추가해주면 새 창에서 열린다 마지막으로 title을 추가해주면 툴팁이 생긴다
HTML 문서의 구조 거의 모든 웹페이지의 첫번째 줄에 관용적으로 사용. 이 문서가 HTML 문서라고 말해준다. head와 body를 감싼다. 전체적인 구조는 head와 body로 나뉘어진다. WEB1 - HTML head는 문서의 과 처럼 본문 이외의 것들이 들어간다. body는 본문 부분이 들어간다.